전체 글(170)
-
TIL_230206
이번에 주특기인 SPRING을 시작하면서 팀원들과 함께 스터디를 시작했다. 그러면서 팀원분들이 어떻게 내용을 정리하는지, 어떻게 기억하고 자신의 지식으로 만드는지를 보면서 공부 한 내용이 더 체계적인 정리가 필요한 것을 느꼈다. 그래서 다른 팀원분이 사용하고 계신 Obsidian을 사용하면서 마크다운을 배우며 정리를 시작했다. https://github.com/SeongMinnnn/springBoot GitHub - SeongMinnnn/Spring-Boot Contribute to SeongMinnnn/Spring-Boo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공부 방법을 바꾸고 이렇게 적응하려고 한다. 공부 방법이 바뀌게 되며 이미 지나..
2023.02.06 -
SPRING#1_5_Project_Memo_Part_1
1. 메모장 프로젝트 소개 - 개요 앞에서 배운 WEB, API, Spring, DB, JPA 등의 개념 및 기술을 활용하여 간단한 메모장 사이트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 필요한 기능 살펴보기 1) 접속 하자마자 메모장 전체 목록 조회하기 a. GET API 사용해서 메모 목록 불러오기 b. 메모마다 HTML 만들고 붙이기 2) 메모 생성하기 a.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 내용 확인하기 b. POST API 사용해서 신규 메모 생성하기 c. 화면 새로고침하여 업데이트 된 메모 목록 확인하기 3) 메모 변경하기 a. 사용자가 선택하고 수정한 메모가 어떤 것인지 확인 b. 변경한 메모 내용 확인 c. PUT API 사용해서 메모 내용 변경하기 d. 화면 새로고침하여 업데이트 된 메모 목록 확인하기 4) 메모 삭..
2023.02.06 -
JPA findAll 정렬하기
Repository에 인터페이스 정의하기 List findAllByOrderByCreatedAtDesc(); 생성시 내림차순 정렬
2023.02.06 -
SPRING#1_4_JPA기초
어플리케이션이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다룰 때의 문제점 1.훨씬 더 번거롭습니다. 1)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만들기(db로 접속해서 sql 쿼리문을 내보내야한다.) 2) 어플리케이션에서 직접 쿼리 만들기 3) 쿼리를 jdbc api를 통해 직접 실행해줘야 합니다. 4) 쿼리 결과로 해당 객체도 직접 만들어줘야 합니다. 2. SQL 의존적이라 변경에 취약합니다. 유저의 몸무게 데이터를 새로 받아와야 한다면 1) 쿼리문도 직접 또 수정해야합니다. 2) 유저객체에 값 넣어주는 부분도 당연히 추가해줘야 합니다. 3. 객체지향 모델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패러다임 불일치가 발생합니다. 1)패러다임 불일치 객체 릴레이션 밀도 문제 다양하나 크기의 객체를 만들수 있음, 커스텀한 타입 만들기 쉬움 테이블, 기본 데이터 타입..
2023.02.06 -
InteliJ 설정
import문 즉시 가져오기 InteliJ 파일(F) 설정 에디터 일반 자동가져오기 import문 즉시 가져오기 가능 자동 업데이트 빌드 기능 옆 Application 선택 구성 편집 해당 어플리케이션 선택 옵션 수정 프레임 비 활성화시 클래스 및 리소스 업데이트
2023.02.06 -
WIL#4
가장 기본적인 java 문법을 가지고 프로그래머스의 다양한 코딩테스트문제를 풀었다. 코딩은 컴퓨터에게 나만의 규칙을 만들어 설명하는 것이라는 것을 제대로 알았다. java에 소수점을 반올림 하는 문법이 있어도 그 방법보다 더 간단하게 int 형식일 때 +0.5를 해줘서 계산한다든지 우리가 알고 있는 규칙을 컴퓨터가 받아들이는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목표로 코딩을 공부해야겠다. 이번에 과제로 코드를 처음부터 짰는데 아직 객체 지향 구조가 명확히 눈에 안 들어와서 이번주 주특기 주차를 시작하며 병행할 예정이다. 그리고 객체지향 2에서 헷갈렸던 인터페이스와 상속의 개념을 간단하게 한 번 더 정리한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만을 조상으로 받을 수 있으며, 다중상속이 가능하다. impleme..
2023.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