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력서 스터디(3)
-
7일차
Web Server와 WAS의 차이 Web Server Web Server의 개념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로 구분된다. 하드웨어 : Web Server가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 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 정적인 컨텐츠(.html .jpeg .css 등)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Web Server의 기능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 또는 웹 크롤러)의 요청을 서비스하는 기능 요청에 따라 2가지 기능 중 적절하게 선택하여 수행 기능 1 정적인 컨텐츠 제공 WAS를 거치지 않고 바로 자원 제공 기능 2 동적인 컨텐츠 제공을 위한 요청 전달 클라이언트의 요청(Request)을 WAS에 보내고, WAS가 처리한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응답, Re..
2023.05.17 -
5일차
RestClient - Spring에서 제공하는 Http 통신에 사용할 수 있는 템플릿이다. - RestTemplate과 WebClient 2가지 종류가 있다. RestTemplate: Blocking I/O 기반의 Synchronous API WebClient: Non-Blocking I/O 기반의 Asynchronous API RestTemplate - Spring이 제공하는 동기식 Http 클라이언트 - Restful서비스를 호출하는데 사용되며, Http 메서드에 대한 템플릿 메서드를 제공한다. - 예를들어 Get, Post, Delete 등의 메서드를 지원한다. - Spring 5.0이후로는 RestTemplate이 deprecated 되었으며, 대신 WebClient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
2023.05.13 -
3일차 과제
JPA 영속성 컨텍스트 - 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 엔티티 매니저를 통해서 영속성 컨텍스트에 접근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영속성 컨텍스트의 특징 영속성 컨텍스트는 엔티티를 식별자 값으로 구분한다. 따라서 영속 상태는 식별자 값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JPA는 보통 트랜잭션을 커밋하는 순간 영속성 컨텍스트에 새로 저장된 엔티티를 데이터 베이스에 반영하는데 이를 flush라 한다. 영속성 컨텍스트의 장점 - 1차 캐시 영속성 컨텍스트 내부에는 캐시가 있는데 이를 1차 캐시라고 한다. 영속 상태의 엔티티를 이곳에 저장한다. 1차 캐시의 키는 식별자 값(데이터베이스의 기본 키)이고 값은 엔티티 인스턴스이다. // em.find(엔티티 클래스 타입, 식별자 값); Member member = em.find(Me..
2023.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