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70)
-
WIL#6
주특기 숙련주가 끝났다. 입문주차 과제 내용에서 추가적으로 기능을 만들고 기존에 구현했던 CRUD기능을 더 추가해서 구현했는데 아직 코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이제 흐름을 이해했으니 더 구체적으로 하나하나의 기능을 더 깊게 이해하도록 목표를 또 다시 잡아야할 것 같다. 자바 스터디는 예외처리까지 진도가 다 나갔다. 이제부터는 아직 제대로 보지 않았던 개념을 봐야해서 속도보다는 정확성을 목표로 더 공부해야겠다. ORM은 클래스와 테이블의 불일치를 해결하여 연결하는 것이다. 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제어하는 컴퓨터 언어다. MVC는 ORM을 이용해 클래스 메서드를 통해 SQL문 사용 없이 조작하려고 한다. SQL은 쿼리문으로 정보를 주고 받는다. MVC는 model, ..
2023.02.20 -
TIL_230218
오늘은 자바 스터디를 했다. 예외처리 방법이 다양했고 과제에 사용했던 예외처리가 예외처리가 아닌 예외 선언으로 정보를 재요청하는 형태인 것을 알았고 다양한 처리 방법이 있는 것을 알았다. 코드작성한 내용을 하나하나 뜯어보면서 필요한 정보요청을 했는지 더 과하게 요청하지 않았는지를 확인해보고 코드의 역할을 하나하나 더 자세히보았다. @NoArgsConstructor 기본 생성자의 생성을 방지하고 지정한 생성자를 사용하도록 강제하여 무조건 완전한 상태의 객체를 생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는 의미다. 그리고 과제의 ERD도 다시 작성해보며 정확한 연관관계를 이해했다. 빨리 실행하고자 가볍게 이해했던 개념들이 코드를 작성하며 더 깊은 이해를 필요로 하게 되어 코드를 작성할때 더 자세히 이해해야함을 느꼈다. 부..
2023.02.19 -
TIL_230217
오늘은 Lv3과제를 시작하려고 했는데 Lv2 과제에서 제대로 체크하지 못하고 지나간 부분이 있어 다시 오류를 수정했다. 그 과정에서 알아본 내용들을 간단하게 정리한다. 요새 스터디 공부가 부족하고 진도 나가는 속도를 늦췄는데 다시 과제 진행 속도를 올릴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PathVariable type name URL에서 지정된 값을 원하는 타입의 값으로 받아온다. SaveAndFlush 강제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 영속성 컨텐스트란 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이라는 뜻이다.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베이스 사이에서 객체를 보관하는 가상의 데이터베이스 같은 역할을 한다. 엔티티 매니저로 이렇게 관리된다.
2023.02.18 -
TIL_230216
과제를 드디어 다 완료했다. 배운 내용을 위주로 사용하고 문법에 대해 다양하게 활용하는 방법을 잘 몰라서 아직 뭔가 갇혀있고 활용하지 못하는 느낌이다. 자바를 더 공부하고 다양하게 적용할 코드를 더 작성해야겠다. 과제를 작성하면서 많은 내용에서 해맸는데 간단하게 몇개만 작성해본다. @RequestBody: 입력하지 않으면 Http에 Body값을 받을 수 없다. 제너릭 선언한 타입에 따라 해당하는 타입 다양하게 사용 가능 추가로 커스터마이징도 가능하다. https://github.com/SeongMinnnn/report1 GitHub - SeongMinnnn/report1: https://github.com/SeongMinnnn/Spring.git https://github.com/SeongMinnnn/S..
2023.02.16 -
TIL_230213
계속 새벽에 TIL을 쓰다보니 하루씩 밀려서 오늘 날짜가 두개가 됐다. 오늘도 자바 강의, 김영한님의 강의를 들었다. 김영한님은 실무에서 주로 쓰는 것과 아닌 것을 구분해서 말씀해 주시며, 이 또한 상황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설명해주는데 더욱 와 닿았고 내가 목표로 만들고자 하는 기술에는 어떻게 활용해야하는지 생각하게 되었다. 그리고 오늘 항해 과제를 하며 코드를 직접 보면서 기능을 추가하며 만들어 나갔다. 아직 익숙치 않아서 강의 내용에서 썼던 코드를 활용하며 작성해나갔는데, 오류도 많이 보고 생각할 것들이 많았다. 특히 유효성검사에 대해 많이 생각했는데 유효성 검사는 프론트 엔드에서도 하고 백엔드에서는 어디서 하는게 가장 적합한 가에 대해 고민했다. 이에 대해서도 많은 의견을 찾아봤는데 https:..
2023.02.14 -
TIL_230213
작은 따옴표 주의 char 비교 char == ' ' String 비교 str.equals( )
2023.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