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70)
-
TIL_230212
오늘은 김영한님 강의로 Spring을 복습하고 있다. 토비님의 Spring Boot에서 봤었던 내용과 항해강의에서 봤던 내용도 조금씩 겹치면서 좀더 이해가 쉬워진 것 같다. 김영한님 강의는 조금 더 초보자의 시선에 맞춰 기능 하나하나 뜯어가며 보고 있어서 이게 뭐지라고 생각하며 다음에 알아야겠다고 넘어갔던 부분들을 조금씩 더 자세히 알아가는 중이다. 그리고 같이 공부하는 대현님이 캐싱과 메모이제이션의 차이를 궁금해하시며 깊게 탐구하는 모습을 봤는데, 많은 개발자들이 캐싱과 메모리제이션을 동일하다고 말하고 있었다. 그러나 엄밀한 차이를 알지 못하고 자신의 관점에서만 얘기하는 것을 느꼈다. 간단히 말해서 축구와 풋살은 다른 종목이지만 골을 상대방의 골대로 옮기는 행위의 공통점을 가지고 같은 종목이라 얘기하는..
2023.02.13 -
WIL#5
주특기 입문 주가 끝났다. 강의를 들으며 다양한 개념들을 들었지만 현재는 구조 자체를 이해하고 어떻게 흘러가는지 흐름을 익힌 것 같다. 이 외에도 자바 언어를 다시 복습하며 언어 공부 주차때 부족한 부분을 계속 다시 공부하고 있다. 개발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준에 맞춰 직접 규칙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컴퓨터가 어떻게 받아들이는 가가 가장 중요하고 현재 정형화되어 자주 쓰여 정형화된 개발 형태이상으로 아닌 더 효율적인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개발자들이 목표로 해서 더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이라고 느낀다. 현재는 취업을 목표로 개발에 더 깊이 탐구하지 못한다고 느껴지지만 최종 목표를 잊지 않고 꾸준히 나아가야겠다. 주특기 입문 주차 주요 개념 정리 DI, IoC, Bean DI (의존성 주입): 하나의..
2023.02.12 -
TIL_230211
오늘은 객체지향 범위 복습하고 항해99 숙련주차 JPA강의 남은 것을 완강했다. 구조는 어떻게 돌아가는지 많이 익숙해졌고, 내일은 과제를 하면서 코드를 직접 쳐보고 익숙해 져야할 것 같다. 그리고 김영한님의 HTTP강의를 들었는데 쉽고 재미있게 들었다. 실무에 관련한 내용도 알려주시며 팁을 주셨는데 아직까지 멀게만 들리는 것도 있고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하는 지도 생각해보며 좋은 강의라고 느꼈다. 내일부터 김영한님 JPA강의도 같이 병행해서 더 이해도를 높여야겠다. ===================================================================== Optional은 null을 반환하면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경우에 "결과 없음"을 명확히 더러내기 위해 ..
2023.02.11 -
TIL_230210
학습법을 계속 바꾸며 진행하고 있는데 오늘 배운 내용을 모두 정리하려고 하니 내 욕심만큼 강의를 들을 수도 없고 그렇다고 모든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지는 못한 것 같다. 진도도 안 나가고 부족함을 느껴 오늘 까지는 이전 방법과 동일하게 올리고 https://github.com/SeongMinnnn/springBoot/tree/main/Bean/2.%20%EC%88%99%EB%A0%A8%EC%A3%BC%EC%B0%A8 GitHub - SeongMinnnn/springBoot Contribute to SeongMinnnn/springBoo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이제는 개념 하나씩 꾸준히 TIL에 작성하고, 강의를 코드 작성을 하..
2023.02.10 -
TIL_230209
자바스터디를 하면서 이전 내용을 복습하고 있다. 그리고 간간히 시간날 때 프로그래머스 Lv.0을 풀었다. 너무 많은 내용을 머리에 집어 넣다보니 이렇게 이전에 배운 내용들을 복습하며 진행해도 좋은 것 같다. 그리고 오늘 주특기 입문주차 마지막으로 퀴즈를 봤는데 API 구성 요소에 더 익숙해진 것 같다. 짧은 기간인만큼 개념을 다시 볼때 다시 이해가 쉽게 도와줄 수 있게 끔 정리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기엔 어려움이 있지만 현재 단계에 맞는 이해도를 갖고 있는 것 같다. 이후 더 좋은 활용법이 있는지 알아가며 발전해야겠다. 내일부터는 주특기 숙련주차로 들어가서 JPA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김영한님 강의도 추가로 들으며 토비님 강의를 들으며 이해 못한 부분이 있으면 더 깊게 이해해보려한다.
2023.02.09 -
TIL_230208
토비님의 스프링 강의를 들으면서 많이 이해가 안되고 정체됐다. 사람들은 도대체 무엇을 이해하고 목적으로 하는 것인지도 모르겠고 현재 이 강의를 들으며 목표가 무엇인지 헷갈리며 더 이해하기 힘들었다. 그렇게 내 발표 범위까지 강의를 듣고 나서 자료를 정리하면서 느낀 것은 현재 항해99에 참가하며 얻을 내 목표와 이후 개발자가 되어서 알아야 하는 지식의 목표가 꽤 거리가 있다고 느꼈다. 그래서 나는 현재의 목표에 더 가깝게 강의를 정리했다. 주요한 부분은 DI를 통해 더 효율적으로 코드를 작성하며 SOLID 규칙을 잘 지키는 것이며, 어노테이션은 DI에도 큰 역할을 해주며, 개발자들끼리 의사소통이 더 쉽고 코드도 간결하게 하는 역할로 사용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느꼈다. 그리고 토비님의 강의는 다양한 예시를 들..
2023.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