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70)
-
TIL_230314
팀원들과 API명세서까지 작성 후 코드작성에 들어갔다. 로그인을 담당하고 있어서 다른 팀원들보다 조금 더 일찍 작성 중인 내용이 있었는데, 기능단위로 pull request를 보내기로 해서 git desktop을 이용해 기능을 나눠서 보냈다. 그런데 해당 부분만 pull request를 날리고 다른 코드를 pull하지 않아서 해당 부분을 받기위해 pull을 했는데 git desktop에서 push 하지 않았던 내용들이 git에서 빠지게 되어 코드가 모두 날아갔다. 주의해야겠다ㅠㅠ
2023.03.15 -
TIL_230313
로그인 방식 토큰 방식은 세션 하이재킹 공격에 대한 보안성이 높다. 또한 서버 측에서 세션 정보를 유지하지 않기 때문에 서버 부하가 줄어들고 서버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다. 그러나 토큰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 토큰을 안전하게 저장하고 관리하는 등의 추가 보안 조치가 필요하다. 현재 B2B SaaS 서비스에 맞게 Jwt, Redis, Spring boot를 활용하는 방식의 보안을 선택할 예정 동시성 제어는 redis에 token을 담아 redis 이벤트 리스너를 활용해 접속 상태를 확인 후 동시 접속이 가능캐 할 것 로그아웃 방식 메서드 단순 GET 요청으로 동작할 수 있지만 prefetch라는 기술로 인해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prefetch = 사용자를 위해 GET 링..
2023.03.14 -
WIL_230312
기능명세서, API명세서를 짜면서 많은 회의가 필요해 보이고 빨리 계획을 세우는게 문제가 아니라 탄탄한 구조를 갖는게 중요하다고 느끼고, 하나씩 단계를 거쳐가면 중요한 것을 느꼈는데 이 두 가지를 고려하면서 작업을 진행하려고 현재 구현해야하는 단기적인 목표를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좀더 많이 고려하며 단기적인 목표를 설정해서 완료해야겠다.
2023.03.12 -
TIL_230311
마지막 프로젝트는 시큐리티부터 로그인까지 내가 먼저 구축하기로 했다. B2B SaaS에 맞는 보안을 설정하려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돼서 어떻게 보안을 강화해야할지 어떤 기술을 접목시켜 사용할지를 계속 고민했다. 현재 내가 학습한 내용보다 너무 다양하고 많은 보안 방법이 있어 그 많은 정보들을 어떻게 접목시켜야 할지 생각하다가 머릿속에 내용이 정리되지 않고 너무 힘든 내용을 진행한 것이 아닌지를 생각하며 다른 잡념에 빠지고 집중을 하지못하며 헤매고 있었다. 그러다 팀원들과 내용을 얘기하면서 작은 것부터 하나하나 해나가 보라고 했고, 예전에 들었던 아래에 그림과 같은 비유가 생각났다. 이때까지 저 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오늘 정확히 이해한 것 같다. 하나하나 단계를 정하고 차근차근 목..
2023.03.11 -
TIL_230310
오늘 실전 프로젝트 팀이 발표나서 B2B SaaS 아이디어를 정리했다. PPM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목표를 정했고 시장 조사를 통해 차별점을 추가하기로 결정했다. 노션에 모든 내용들을 정리 중이고 이번에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좀더 내용 정리도 신경쓰며 진행하고자 한다. 기술적인 부분은 조사가 끝난 후에 scope를 줄여나가고자 하며 기본적인 카테고리 기능 각 엔티티별 연관관계 설계 각 관리자별 권한 부여를 생각하며 어떤 기술을 구현할 지 많은 회의가 필요해 보이고 빨리 계획을 세우는게 문제가 아니라 탄탄한 구조를 갖는게 중요하다고 느꼈다. 그리고 하루 하나 코딩테스트를 풀기로 했으며, 프로젝트를 하며 봤던 StringBuilder를 사용해 문제 하나를 풀었다.
2023.03.11 -
TIL_230309
오늘 팔로우에 맞춰 페이지네이션을 완료하려 했는데 진행 중에 서버 재가동을 위해 main으로 나와서 다시 서버 버젼을 돌려서 실행하려고 할때, 롤백이 나와서 찾아봤는데 파일을 되돌리는 것이였고, 확인했을 때, 큰 차이가 없는 파일들이라 관련 없는 것이라 생각하고 진행했는데, 해당 파일이 수정된 상황으로 돌리는 것이였고, 파일이 모두 날아갔다ㅠㅠ 아쉬웠지만, 어디서 잘못된지 돌아볼 수 있었고, 결국 구현해내지 못했지만, 연관관계에서 부터 잘못된것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확인해보니 인스타 Follow 기준으로 정보를 얻어내기 위해 팔로우 하는 사람, 팔로우 대상을 모두 User로 받아와서 만들어줘야하는 것임을 깨달았다. 다음에 관련된 상황을 구현하고자 할때는 꼭 고려해서 만들도록 해야겠다. 2023-03-09..
2023.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