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_WIL(72)
-
TIL_230406
어제는 몸살 기운이 너무 심해서 집중도 잘 안되고 Jwt 예외처리에서 헤매다가 하루 종일 쉬었다. 오늘도 하루종일 Jwt 예외처리에서 헤맸는데 filterCain.doFilter를 사용하다보니 내가 원하는 데로 예외처리가 되지 않고 내가 원하는 에러를 뱉어내지 않았다. 그래서 해당 내용을 제거하고 security와 jwt를 조금 더 공부하며 내가 원하는데로 바꾸고 있는데 아직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해서 security의 설정에서 나오는 에러와 jwt의 설정에서 나오는 에러 두 개를 모두 뱉어내고 있어 서로 충돌 중이다. 조금 더 공부해서 해당 내용을 내가 원하는데로 잘 다듬어내야겠다.
2023.04.07 -
TIL_230404
시큐리티 filter를 걸어주는 과정에서 여러 방법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접근 권한에 대한 설정은 exceptionHandling을 사용해도 되고 http.exceptionHandling() .authenticationEntryPoint(new RestAuthenticationEntryPoint()) .accessDeniedHandler(tokenAccessDeniedHandler); jwt 필터 이전에 custom하여 걸어줘도 된다. .addFilterBefore(new JwtAuthFilter(jwtUtil),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Filter.class) .addFilterBefore(jwtExceptionFilter, JwtAuthFilter.class); tok..
2023.04.05 -
TIL_230403
구글 소셜 로그인을 해결하려고 URL을 보면서 점점 오류를 해결하며 제대로 구현하는 중인데 여전히 어디서 오류가 생긴지 파악하기 어렵다 그래도 많이 전진하고 있는 것 같다. 그리고 멘토님이 http status를 1002와 같은 새로운 번호에 토큰 만료와 같은 오류를 던져줘라고 하셨는데 포스트맨에서 오류가 생기고 chat gpt는 호환성이 떨어져서 권장하지 않는다고 해서 어떤게 맞는지 어렵다 일단 소셜 로그인을 구현하고 추후에 더 고민해봐야겠다. 또 오늘 jwt filter로 인해 LocalDateTime과 관련한 오류가 생겼는데 이렇게 구조의 문제로 build.gradle처럼 application에 관련된 내용이 filter에 적용되지 않는데 custom error를 던져줘서 생기는 문제였다. 이제 s..
2023.04.04 -
WIL_230402
협업을 하면서 무엇을 우선순위에 둬야할 지 정확하게 정리하지 않고 진행한 부분에 굉장히 아쉬움을 느꼈고, 이러한 부분 때문에 작업을 하다 부족한 부분을 다시 채우며, 업무를 순서 없이 급한대로 진행하다보니 머리속도 정리가 안 되고 굉장히 비효율적으로 진행했다. 그러다보니 어떤 부분을 다음스텝으로 진행해야하는지에 대해서도 정리가 되지 않았고 쫓기듯이 일을 했다. 이제는 그런 부분을 더 정리하며, 같이 일하는데 더욱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업무를 정리하며 진행해야겠다.
2023.04.02 -
TIL_230401
오늘은 중간 발표를 하고 멘토님께서 면접예상 질문 및 현재 진행 내용에 대한 질문을 던져주셨다. 이런 설명을 들을수록 무조건 빠른 기능 구현이 아니라 더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기술적 의사결정의 중요성을 이해했다. 현재 내가 기능을 구현하는데 느린 이유도 이를 정확히 잘 알지 못하고 하려고 하는 것을 느꼈으며, 이제 더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기술적 의사결정을 해야한다고 느꼈다. cs지식을 더 묻는 이유도 명확히 이해했고, 부족한 부분을 더 잘 채워나가야겠다.
2023.04.02 -
TIL_230331
redis를 서버에서 연결하려고 하는데, redis-cli에서 key값을 조회하는데, 계속 key값은 생성되고, value 값은 찾을 수 없는 오류가 생겼다. 그래서 나는 어떤 설정이 잘못 된지 몰라서 계속 redis에 관해 공부하며, 더 오류를 찾았었다. redis template로도 다시 적용하고 redis repository 설정도 다 다시 확인하며, 계속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었는데, key값은 생겨도 value는 조회할 수 없는 오류가 계속 생겼었다. 그러다가 문득 CrudRepository의 기능을 생각하게 되며 JpaRepository마냥 findByEmail이라는 메소드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이상하다고 생각이 들어 찾아봤다. CrudRepository는 그런 기능을 지원하지 않았다. 그래..
2023.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