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70)
-
Linux -exec
-exec 는 앞에 명령어로 실행된 내용을 이어서 추가로 실행하는 명령어에 활용하는 부분에 {}를 사용하여 삽입하여 내용이 이어져 실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ex) find . -name "*.sh" -type f -exec basename {} ".sh" \; .sh로 끝나는 이름을 가진 파일을 찾아서 (find 명령어로 실행된 내용을 basename 명령어에 맞게 실행하도록 한다.) .sh를 제외하여 나열한다.
2023.11.29 -
linux
fallocate -l 파일 사이즈 지정 fallocate -l 40 filename file size = > 40byte git ls-files : 작업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표시 --others: 추적되지 않는 파일들 나열 --ignored: .gitignore에 명시된 파일들 --exclude-standard git에서 제공하는 무시 규칙 적용
2023.11.28 -
오펜하이머 본 후 이런 저런 생각
오펜하이머는 원자 폭탄을 개발하며, 이후에 일어날 다양한 일을 예측하며, 현재 자신이 할 수 있는 가장 최선의 일을 하고자 했다. 이 부분에서 나는 특정 기술을 개발하게 되는 모든 이들이 겪을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했고 내가 목표하는 개발자 또한 그렇다고 생각한다. 특히 네카라쿠배당토직야로 불리는 모든 IT기업을 보며 이러한 부분에 대해 더욱 많이 생각하게 되는 부분이다. 나는 이 중에서 네이버를 제외하고 다른 기업들은 전혀 목표하고 싶은 기업이 아니다라고 생각한다. 물론 내가 모든 기업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기업이 펼쳐나가는 사업을 모두 다 알고 있지는 않다. 또한 네이버가 가장 큰 기업이라서가 아니다. 네이버 이외의 기업들은 내수시장 발달에서 생겨난 이익을 챙기는 형태가 주된 형태로 보인다. 즉, 한국..
2023.08.22 -
7일차
Web Server와 WAS의 차이 Web Server Web Server의 개념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로 구분된다. 하드웨어 : Web Server가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 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 정적인 컨텐츠(.html .jpeg .css 등)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Web Server의 기능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 또는 웹 크롤러)의 요청을 서비스하는 기능 요청에 따라 2가지 기능 중 적절하게 선택하여 수행 기능 1 정적인 컨텐츠 제공 WAS를 거치지 않고 바로 자원 제공 기능 2 동적인 컨텐츠 제공을 위한 요청 전달 클라이언트의 요청(Request)을 WAS에 보내고, WAS가 처리한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응답, Re..
2023.05.17 -
5일차
RestClient - Spring에서 제공하는 Http 통신에 사용할 수 있는 템플릿이다. - RestTemplate과 WebClient 2가지 종류가 있다. RestTemplate: Blocking I/O 기반의 Synchronous API WebClient: Non-Blocking I/O 기반의 Asynchronous API RestTemplate - Spring이 제공하는 동기식 Http 클라이언트 - Restful서비스를 호출하는데 사용되며, Http 메서드에 대한 템플릿 메서드를 제공한다. - 예를들어 Get, Post, Delete 등의 메서드를 지원한다. - Spring 5.0이후로는 RestTemplate이 deprecated 되었으며, 대신 WebClient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
2023.05.13 -
4일차
List, Set, Map, HashMap의 차이 1. List : 저장공간이 필요에 의해 자동으로 늘어난다 (순서 O) - 특징 : 순서가 있고, 중복을 허용(배열과 유사) - 장점 : 가변적인 배열9배열이 자동으로 늘어남) - 단점 : 원하는 데이터가 뒤쪽에 위치하는 경우 속도의 문제 - 방식 : equals()를 이용한 데이터 검색 자바에서 list자료 구조는 크게 vector, arraylist, linkedlist로 나눠진다. 1) Arraylist : 객체 내부에 있는 배열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 상당히 빠르고 크기를 맘대로 조절할 수 있는 배열 - 단방향 포인터 구조로 자료에 대한 순차적인 접근에 강점 2) Vector : Arraylist와 동일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 ArrayList의 ..
2023.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