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70)
-
JAVA_#2_2
배열 배열은 같은 타입의 여러 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다루는 것입니다. 배열의 선언 - 배열을 다루기 위한 참조변수의 선언 선언 방법 : 아래 두 가지 방법 모두 지원 - 타입[] 변수이름; int [] age; String[] name; - 타입 변수이름[]; int age[]; String name[]; 배열의 생성 - 타입[] 변수이름 =new 타입[길이]; int[] age; :int 타입의 배열을 다루기 위한 참조변수 age를 선언 age = new int[5]; :int 타읩의 값 5개를 저장할 수 있는 배열을 생성(new) 배열의 시작 주소(메모리 주소)가 참조변수 age에 저장되었습니다. age는 저장된 주소를 통해 해당 배열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즉, 참조변수와 배열이 연결되었고 우리는 ..
2023.01.19 -
JAVA_#2_1
조건문과 반복문 플로우차트 = 순서도, 흐름도 if if (조건식) { 조건식의 결과가 참일 때 실행하고자 하는 문장; } if -else if (조건식) { 조건식의 결과가 참일 때 실행하고자 하는 문장; } else{ 조건식의 결과가 거짓일 때 실행하고자 하는 문장; } if - else if - else if (조건식1) { 조건식 1의 결과가 참일 때 실행하고자 하는 문장; } else if (조건식2) { 조건식2의 결과가 참일 때 실행하고자 하는 문장; } else { 조건식1, 2의 결과가 모두 거짓일 때 실행하고자 하는 문장; } *마지막 else 블럭은 생략이 가능합니다. 중첩 if if (조건식1) { 조건식 1의 결과가 참일 때 실행하고자 하는 문장; if (조건식2) { 조건식1, ..
2023.01.19 -
JAVA_#1_2
1일차_2 문자열 결합 문자열 결합 순서에 의한 차이가 있다. "" + 7 + 7 => "7" + "7" 7+ 7 + "" => 14 + "" => "14" 연산자 증감연산자 class Operator2_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k = 0, j = 3; // 후위 형 k = j++; System.out.println("k = j++;, k = " + k); System.out.println("k = j++;, j = " + j); // 다르게 표현 가능 // k = j; // j++; // System.out.println("k = j++;, k = " + k); // System.out.println("k = j++;, j = " + j);..
2023.01.19 -
JAVA_#1_1
오늘 배운 내용을 복습하면서 작성하는 TIL 변수 단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한다. 메모리 공간은 각각이 구분될 수 있도록 '메모리 주소'를 가지고 있다. 메모리 주소 참고 : == : 비교하고자 하는 두 피연산자의 주소값을 비교한다. 위 이미지 처럼 저장되는 값의 종류에 따라, 변수의 메모리 공간 크기가 결정된다. 변수 생성 규칙 - 대소문자가 구분되며 길이에 제한이 없음 - 예약어(ex->true) 사용 불가 - 숫자로 시작 불가 - 특수문자 _ 와 $ 만 허용 변수의 여러가지 형태 Camel case varTest Snake case var_test Pascal case (Java 에는 클래스명만 대문자로 시작하자는 암묵적인 규칙이 있어서 추천 X) VarTest Kebab ..
2023.01.19 -
Read
@app.route('/') def home(): return render_template('index.html') app.py를 render_template을 활용해 index.html과 연결해주었다. # 링크 전체 조회 @app.route("/api/link", methods=["GET"]) def link_list_get(): _linklist = list(db.links.find({}, {'_id': False})) return jsonify({'linklist': _linklist}) GET을 활용해 /api/link로 연결했다 _linklist는 db의 links에서 _id값을 제외한 모든 값을 가져와 나열해준다. 이후 프론트엔드 linklist와 연결해준다. 이를 통해 백엔드 데이터를 프론트..
2023.01.13 -
Create
토이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혜민님의 도움을 받아 가장 기본적인 설계부터 진행했다. Create 생성 Read 읽기 Update 갱신 Delete 삭제 기능을 먼저 구현하기 위해 app.py코드를 채워나갔다. # 링크 생성 Create @app.route("/api/link", methods=["POST"]) def link_post(): POST라는 methods를 사용해서 /api/link를 통해 연결한다. link_post()라고 정의한 내용이다. # id 값 만들기 all_list = list(db.links.find({}, {'_id': False})) id = len(all_list) + 1 title = request.form['title'] url = request.form['url'] tag..
2023.01.13